김장철에 빠질 수 없는 재료이기도 한데 무의 아삭한 식감과 시원한 맛이 김치의 풍미를 살려줘요. 또한 무는 다양한 민간요법에도 활용 되었어요. 소화불량이나 배가 더부룩할 때 무를 갈아 마시면 속이 편안해지고, 숙취 해소에도 무즙이 도움을 준다고 알려져 있어요. 무는 약재로서도 가치가 커요. 무는 재배도 쉬워 농가에서도 흔히 키우며 계절마다 다양한 방식으로 소비 돼요. 봄에는 연한 잎과 뿌리를 나물로 즐기고 여름에는 시원한 생무채나 무냉국으로 먹으며, 가을과 겨울에는 국이나 김치로 담가 먹어요. 이렇게 사계절 내내 우리 식탁을 지켜주는 든든한 식재료에요. 무는 그 어떤 요리에도 잘 어울리고 맛과 이점 모두 뛰어나 남녀노소 누구에게나 좋은 채소라 할 수 있어요.
예로부터 무즙을 꿀에 타서 먹으면 기침이 줄고 목이 편안해진다고 전해 내려와요. 또한 무는 이뇨 작용을 도와 몸속 노폐물을 배출하고 부기를 줄이는 이점도 있어요.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고 독소를 내보내는 데 도움이 되므로 건강을 지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해요. 무의 잎 역시 버릴 것이 없어요. 무청은 된장국이나 시래기로 활용되며 칼슘과 비타민이 풍부해 뼈 건강에 좋아요. 건조시켜 먹으면 오랫동안 보관할 수 있고 깊은 맛을 더해줘요. 무는 열량이 낮아 다이어트 식품으로도 좋아요. 수분과 식이섬유가 많아 포만감을 주고 장 운동을 촉진하여 변비 예방에 좋아요. 특히 겨울철에 수확한 무는 단맛이 강하고 영양이 풍부해 더 가치가 높아요.
무는 우리 식탁에서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뿌리채소로 예로부터 약재와 식재료로 널리 활용되어 왔어요. 아삭하고 시원한 맛 덕분에 생으로 먹어도 좋고 국이나 찌개, 김치, 장아찌 등 다양한 요리에 쓰여요. 무에는 수분이 풍부해 갈증을 해소하고 몸의 열을 내려주는 작용을 해요. 특히 더운 여름철이나 기운이 없을 때 무를 먹으면 몸이 한결 가벼워지고 소화가 잘 되는 것을 느낄 수 있어요. 또한 무에는 소화 효소가 많이 들어 있어 고기나 기름진 음식을 먹을 때 함께 먹으면 소화를 돕고 속을 편안하게 해요. 그래서 갈비탕이나 설렁탕, 돼지고기 수육과 같은 음식에 무가 꼭 들어가는 이유가 여기에 있어요. 무의 매운맛 성분은 항균 작용을 하여 감기나 목의 염증을 완화 하는데도 도움이 돼요.